Skip to content

조회 수 1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 정부 Do Not 리스트] ⑥기업인 만나되 독대하지 마라

페이스북트위터구글카카오스토리

프린트글자확대글자축소

 

사실상 박정희 시대 머무른 박근혜

기업 총수 독대하며 모금요구

특혜와 반대급부 악순환 이어져

경제 살리기ㆍ일자리 창출 위해

기업과 적극적 소통 필요하지만

공개적으로 투명하게 이뤄져야

 

 

 

역사학자들이 TV에서 방영되는 사극(史劇)의 대표적인 왜곡 사례로 꼽는 것이 왕과 신하의 독대 장면이다.

 

 

드라마 속의 독대에선 국정에 대한 긴밀한 논의가 이뤄지기도 하지만, 음모가 싹트고 때로는 흥정과 거래가 벌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조선시대 왕들이 신하와 독대하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했고, 매우 드문 일이었다. 실록을 적는 사관이나 승정원일기를 적는 주사 등 기록자의 배석 없이 왕은 누구도 만날 수 없었다. 신하가 왕에게 독대를 요청한 사실이 알려지면 상대 당파의 공격 대상이 됐다. 그래서 독대는 죽음을 각오해야 하는 일이기도 했다. 독대가 낳는 부작용을 이미 선조들은 깨닫고 있었던 것이다. 왕을 견제하고, 비선이 생길 틈을 주지 않았던 이런 문화는 조선 왕조가 500년 넘게 유지될 수 있었던 비결로 꼽히기도 한다.

 

그런데 왕조 시대에도 금시기 됐던 독대가 현대에 들어서 오히려 일반화됐다. 특히 권력자와 재벌 총수의 개별만남은 정경유착의 폐해로 이어졌다.

 

 

군사정권 시절 독대 ‘정경유착 심화’

시작은 1961년 5ㆍ16 쿠데타 직후 박정희 대통령과 이병철 삼성 창업주의 독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박 대통령은 기업인들에게 공장을 건립하고, 단체를 만들어 정부의 산업정책에 협력할 것을 요구했다. 대신 부정축재자로 몰렸던 기업인들을 처벌하지 않겠다는 조건을 걸었다. 이 때 탄생한 것이 전국경제인연합회다. 박정희 정권은 이후 재벌 기업들에게 세금ㆍ금융 혜택과 시장 독점권을 보장해줬고, 그 대가로 전경련은 정치자금을 조달해 정권에 건넸다.

전두환 노태우 정권 때도 이런 흐름은 이어졌다. 전두환 대통령은 재임 기간 중 기업들로부터 받은 돈이 9,500억원에 달했고, 직접 상납받은 금액도 2,000억원이 넘었다. 당시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 이병철 삼성그룹 회장, 조중훈 한진그룹 회장, 최종현 선경그룹 회장 등과의 독대에서 돈이 오갔다.

 

노태우 대통령 역시 2,850억원의 돈을 기업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구속됐는데, 그 대가로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 최원석 동아그룹 회장, 정태수 한보그룹 회장 등과 수차례 독대하며 대형 국책공사를 맡긴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박근혜 정부서 되살아난 재벌 독대

재계에서는 김영삼 김대중 정부를 거치면서 대통령과 재벌 총수들의 독대 관행이 줄기 시작해 노무현 정부 때 거의 없어졌다고 평가한다. 오히려 노무현 대통령이 기업인들과의 독대를 꺼리면서 정권과 대기업 간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다는 볼멘소리가 재계에서 나올 정도였다. 대기업 최고경영자(CEO) 출신인 이명박 대통령도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외치며 친기업 정책을 펼쳤지만, 독대 보다는 대규모 회의나 간담회를 활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구시대 유물로 여겨졌던 재벌 총수 독대가 박근혜 정부에서 되살아난 것은 기업에 대한 시각이 아버지 박정희 대통령 집권 당시에 머물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재계 관계자는 “기업들을 정부가 이끄는 대로 따라와야 하는 존재로 여겼는데, 이는 아버지 박정희 대통령이 추구한 국가주도 개발경제 시절의 문화이자 병폐였다”며 “당시 당연시 됐던 정경유착에 대한 문제의식이 전혀 없었고, 기업을 부려야 하는 대상으로 생각한 것이 문제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업인들을 만날 때 독대 형식을 취한 것도 박정희 대통령의 방식을 모방한 것이 아니었겠냐”고 덧붙였다.

 

박근혜 대통령은 2015~2016년 크게 두 차례에 걸쳐 주요 기업 총수들과 단독 면담하며 미르ㆍK스포츠 재단 모금을 요구했고, 최순실의 개인 민원을 해결하려 했다.

 

이 같은 독대는 법과 제도를 무력화시키는 부작용을 낳는다. 전직 정부 관계자는 “재벌 총수와 대통령이 독대하면 필연적으로 개별 기업의 현안과 애로 사항을 들을 수 밖에 없다. 대부분 정당한 법 절차로 해결되지 않는 것들인데, 해법을 찾다 보면 반드시 특혜로 이어지고, 반대급부를 요구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경협조 필요…공개적으로 투명하게 만나야”

전문가들은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새 대통령이 오히려 적극적으로 기업과 소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준선 성균관대 교수는 “정부가 대형 프로젝트를 시행하려면 결국 재무적으로 여력이 있는 대기업의 도움을 받을 수 밖에 없다”며 “정경유착이 아니라 정경협조가 필요한데, 정부와 기업인이 만날 때는 독대가 아니라 다수가 공개적으로 만나는 방식으로 정경유착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상인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기업이 투자하도록 강요하는 게 아니라 공정한 경쟁이 이뤄지고, 승자가 충분히 보상받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정부가 해야 할 일”이라며 “정부와 기업인의 만남은 독대가 아니라 공개적으로 투명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기업인을 만나는 것도 굳이 대통령이 할 게 아니라 경제를 잘 아는 경제부총리나 청와대 정책실장, 장관 등이 만나는 게 효율적”이라며 “다만 개별기업에 대한 논의가 아니라 경제계 전반의 일반적인 룰에 대한 의견 교환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준규 기자 manbok@hankookilbo.com

고경석 기자 kave@hankookilbo.com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
  • 카카오스토리

저작권자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급상승 기사

  1. 1.[영상] 고속도로서 반토막 난 쉐보레 임팔라 '기적의 현장'
  2. 2.“재인이는 인생이 훌륭한 사람” 50년 지기가 말하는 문재인 대통령
  3. 3.제자 구하다 숨진 단원고 교사 ‘순직군경’ 인정 못한다는 보훈처
  4. 4.“文대통령에 부담 될라” 먼저 짐 싼 측근
  5. 5.[단독]김관진 수하 육군 대령, 향응 혐의 압수수색 당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김원일 2014.12.01 8580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7 38637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7 54418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6259
1075 없앴다. 동해 2016.10.26 139
1074 엄마는 그럴 줄 몰랐습니다 - 패러디 시 아기자기 2017.05.14 268
1073 언행으로 드러나지 않은 .......마음속 죄로 인하여....... 처벌받지는 않는다. 2032(순) 2016.09.07 133
1072 언제나 시작하는 또 다른 말세와 조사심판 1 file 김균 2017.01.23 588
1071 언론사 공동 팩트체크, 홍준표 거짓말 가장 많았다 쟁이 2017.05.18 99
1070 언론개혁은 이 사람들 부터 ! 노갈 2017.05.22 151
1069 억울한 누명을 쓴 하나님의 항변-I 1 정 석 진 2017.09.23 146
1068 어째서 사람들은 거짓 소문을 쉽게 믿고 열심히 퍼나르는 것일까? 3 김주영 2016.12.14 357
1067 어째서 보수기독교인들이 성폭력에는 관대한가? 2 file 김주영 2016.10.15 194
1066 어제는 fallbaram. 2017.09.27 151
1065 어이쿠~ 하나님, 웬 고기를? 배고픈데 감사히 잘 먹겠습니다. 3 눈장 2017.04.22 193
1064 어머니 덕분이다 1 다알리아 2023.05.18 245
1063 어리숙한 사람 2 동화 2016.12.10 204
1062 어떻게 판단하십니까? "중국인 잠수부 밤마다 무언가 꺼내와" 도둑님 2016.12.11 142
1061 어떻게 생각 하세요? 2 댓글 2017.05.16 216
1060 어떤 푸념 시골생활 2017.09.05 116
1059 어떤 우유를 먹일까? 5 김균 2017.03.30 276
1058 어떤 신학생이 내게 보낸 문자 2 김원일 2017.10.19 451
1057 어느싸이트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보며 책임감을 느낍니다. 나도 공범입니다. 공범공감 2016.11.26 178
1056 어느 특별한 결혼식에 읽혀진 시 1 무실 2021.08.11 237
1055 어느 얼간이 재림교인이 '화잇의 무오설'을 믿으며 화잇을 '신격화'(???)하는지 찾아 오시라! 6 비단물결 2017.09.28 306
1054 어느 거리음악가의 영혼을 씻겨주는 노래 한곡 "YOU RAISE ME UP" - MARTIN - still 2016.12.07 177
1053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 김균 2018.01.25 607
1052 얘들아, 내가 후일에 음식가림법을 폐지할 것이니 그때가서 자유롭게 먹으며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도록 해라! 1 눈장 2017.04.23 188
1051 양백(兩白), 도(稻), 삼풍(三豊), 토(土), 미(米), 황(黃),백의(白衣)... 해월 황여일의 예언 (해월유록 ) 현민 2017.01.01 67
1050 애자 소나무 2017.10.31 151
1049 애비는 유신,.......옷 갈아입는 데는 귀신..국민들은 실신...ㅋ ㅋ ㅋ 그네접신 2016.10.26 164
1048 애덤 스미스 - 공감대로서의 도덕 (24) 2 곰솔 2017.01.27 157
1047 애국자와 아닌자들 애국자 2016.10.07 67
1046 암환자 죽으러 갔는데 살아서 돌아왔다 7 백향목 2016.09.20 216
1045 알듯 모를 듯한 세 천사 기별 2 들꽃 2020.09.19 208
1044 안희정 “반기문, 눈치보느라 자신이 모시던 대통령 조문도 안한 사람” 1 who 2016.12.20 142
1043 안철수 "노무현 '참 나쁜 대통령'이라던 박근혜, 최순실 덮으려는 의도" 분권 2016.10.24 98
1042 안식일의 완성 fallbaram. 2024.04.24 240
1041 안식일은 십자가의 그림자인가? 1 김균 2020.05.15 260
1040 안식일은 무엇을 의미 하는가? 1 하주민 2017.07.07 207
1039 안식일(9) 두 안식일 1 김균 2020.09.07 148
1038 안식일(7) 유대인의 안식일 김균 2020.04.23 96
1037 안식일(6) 너희의 도망하는 일이 김균 2020.04.11 95
1036 안식일(5) 나의 종교 그리고 너의 종교 7 file 김균 2018.12.30 494
1035 안식일(4) 미래의 종교 1 file 김균 2018.12.29 241
1034 안식일(3) 율법의 종교 file 김균 2018.12.29 227
1033 안식일(2) 생활의 종교 file 김균 2018.12.28 267
1032 안식일(1) 쉼의 종교 1 file 김균 2018.12.27 305
1031 안식일 준수자 전체가 편협하고 광신적인 사람으로 취급받게 하는 사람 무명 2017.05.01 179
1030 안식일 교회 신앙살이 너무 힘들다 12 박성술 2016.10.15 336
1029 안식교인들 구약 잘 안다며? 이런 주제로 설교하는 안식교 목사 있는가? 그의 발에 입맞추리... 김원일 2017.12.16 445
1028 안식교를 떠나거나 아니면 적어도 잠시 좀 멀리 벗어나보고 싶은 그대에게--수정 (조회수 22 이후) 김원일 2017.10.24 530
1027 안식교 목사 그대들 중 이런 수녀 있는가. 돼지고기 같은 소리 그만 하고. 2 김원일 2017.04.22 336
1026 안식교 Trans-European 지회 행정위원회가 대총회에 대고 한 말. 한국연합회, 쿠오바디스? 김원일 2017.02.21 323
1025 안녕하십니까? 2 fallbaram. 2020.10.25 229
1024 안녕하십니까. 한 동안 자리를 비웠던 이 누리 "주인장" 김원일입니다. 김원일 2021.01.19 150
1023 안녕하세요. 1 하이 2016.11.20 141
1022 안내의 말씀 2 안내문 2017.10.18 606
1021 안교공과의 질문과 가능한 대답 들꽃 2020.10.17 97
1020 악플에 시달리다가 이곳을 떠난 누리꾼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이 누리 등록제로 바뀝니다. 필명 허용은 물론 계속 유지합니다. 1 김원일 2017.10.19 288
1019 악의 평범성 (Banality of evil)--사랑하는 내 모국의 아이히만, 김기춘 간신, 역적 1 김원일 2017.02.13 187
1018 아침부터 이 멋진남자 이야기를 또 봅니다 오늘은 왠지 저도 자중하고 자중하고 또 자중하고 싶어집니다 1 heeyoung 2016.10.26 192
1017 아침 안개 속에 다가오신 님 김균 2020.09.07 165
1016 아이고~ 산울림 2016.10.06 157
1015 아연질색 초등생 2016.11.01 197
1014 아야금의 가야금 연주와 노래,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 마음파동 2017.10.16 87
1013 아브라함 아 소는 누가 키우냐 ? 8 박성술 2016.09.23 223
1012 아무리 여름이 덥지만 3 김균 2018.08.09 232
1011 아무리 생각해도 들꽃 2020.08.09 125
1010 아무리 멍청한 목사의 멍청한 설교라도... 1 김원일 2017.10.24 395
1009 아름다운 성직자. 에르미 2018.09.16 207
1008 아름다운 강산 지경야인 2017.01.02 105
1007 아래에 "기술담당자님, 질문있습니다" 라고 질문한 궁금입니다. 답변에 댓글을 달았지만, 주의를 환기시키는 의미에서 이곳에도 올립니다 3 궁금 2016.09.15 160
1006 아들 2 박희관 2020.05.07 154
1005 아담에게 드리는 노래. 바이블 2020.08.03 84
1004 아, 정말 열 받네. 유행가? 골프? 영화? 간음? 하고 싶으면 해. 싫으면 말고. 확 그냥 다 지워버려? 2 김원일 2016.09.21 341
1003 아! 하늘이 내려준 나의 배필이여!  결혼 30주년 공개 서신 선한이웃 2017.04.02 224
1002 아! 여기 숨어 있었군요 fallbaram. 2024.03.07 262
1001 아! 기독교 1 김균 2020.07.29 137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3 Next
/ 23

Copyright @ 2010 - 2024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