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북한은 미국과 중국이 원하는 걸 안다
[최성흠의 문화로 읽는 중국 정치] 북미관계 변화는 북중관계의 변화
 
북한은 미국과 중국이 원하는 걸 안다
 
 
 
facebook.png
twitter.png
kakaostory.png
band.png
scrap2.png
print.png
big.png
small.png
topbtn2.png
print3.png
 
 
 
 
금년 4월과 5월 두 달에 걸쳐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이 예정되어 있다. 지겹게 끌어 온 북한의 핵문제를 해결하고, 동아시아에 평화와 안정을 가져다줄지도 모르는 역사적인 회담이다. 이번 회담에서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폐기할 수 있는 방안이 도출되고, 북미관계를 개선하여 평화협정까지 이룰 수 있다면 그보다 더 좋은 결과는 없을 것이다.
 
북미관계가 변한다는 것은 곧 북중관계가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남북관계의 변화를 낳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미국과 중국의 관계도 변화시킬 것이다. 중국은 동아시아 안보의 지각변동에 직면하여 자신들이 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다는 차이나 패싱의 위기감을 가지고 이번 회담을 촉각을 곤두세우며 지켜보고 있다.  
 
북중관계를 중국에서는 순망치한(脣亡齒寒)의 관계로 묘사하곤 한다.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 매우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내는 말 같지만 다르게 생각하면 중국은 북한을 자기들 이가 시리지 않게 막아주는 입술 정도로 여기고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북중관계를 혈맹이라 부른 적도 있었다. 한중 수교 전에는 주로 그렇게 알고 있었다. 6.25 때 중국이 참전했었고, 더 이전에는 많은 조선인들이 중국공산당에 가입하여 공산혁명에 참여했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해 왔다. 적어도 양국의 인민들 사이에는 그런 정서적 유대감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북중관계의 역사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혈맹이라고 부를 만큼 관계가 끈끈하지는 않았다.  
 
art_1522286466.jpg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영부인인 리설주는 그동안 북한 최고지도자들의 부인들과는 달리 이번 방중에서 영부인으로 전면에 나섰다. 사진은 27일(현지 시각) 댜오위타이(釣魚臺) 국빈관 양위안자이(養源齋)에서 차를 마시고 있는 김정은-시진핑 부부. 왼쪽부터 김정은 위원장 영부인 리설주, 김정은 위원장,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시 주석 영부인인 펑리위안 ⓒ노동신문 캡펴

일본이 만주로 진격하기 위해 갖은 계략을 꾸미던 시기에 북중 간의 미묘한 갈등은 시작됐다. 일본의 관동군이 한국인과 중국인을 이간질시키고, 침략의 꼬투리를 잡기 위해 조장한 만보산사건이 시작이었다. 1931년에 일본의 자본이 투자한 농지를 한국인들이 빌려서 제방을 쌓고 수로를 정비하자 근처의 중국농민들이 반기를 들어 유혈사태가 발생했다. 현지의 유혈충돌은 크게 번지지 않았지만 그 소식이 조선일보를 통해 창춘(長春)의 한국인들이 중국인들에게 핍박받고 있다고 왜곡되어 전해지자 대대적인 반중운동이 일어났다. 평양, 원산, 인천 등을 비롯해 여러 도시에서 중국인들에게 닥치는 대로 폭력을 휘두르는 사태가 벌어졌다. 만주 일대에 한국인과 중국인 사이에도 그런 갈등과 반목의 정서가 퍼지기 시작했다. 
 
1928년부터 만주지역에서 활동하던 한국인 사회주의자들은 코민테른의 1국 1당의 원칙에 따라 대부분 중국공산당에 가입하고 있었다. 중국공산당은 간도(間道) 지역에 동만특위(東滿特委)를 구성하고 왕칭(王淸)을 비롯한 4개 현에 위원회를 두었으며 당원은 상당수가 한국인이었다. 그런 와중에 민생단(民生團)사건이 터졌다. 민생단은 만주지역에서 활동하던 한국인 친일조직의 명칭이다. 일본의 헌병대에 잡혔다가 풀려난 한국인 당원이 심문 끝에 민생단 단원임을 자백하자 중국공산당 내의 민생단원을 색출하는 대대적인 숙청작업이 벌어졌다. 
 
1933년부터 1935년까지 벌어진 숙청의 광풍은 실로 어이없고 비인간적인 것이었다. 중국인은 한국어를 몰랐고, 한국인은 중국어를 몰랐다. 그러나 일제치하에 있던 한국인은 일본어를 할 줄 알았다. 중국인들은 한국인을 무조건 의심했다. 기침 한번 한 것을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며 숙청했고, 밥에 모래가 섞인 것을 두고 공산당을 위해하기 위한 것이라며 숙청했다. 1983년에 발표된 중국공산당 문건에 따르면 497명이 체포되고 367명이 처형됐다고 나와 있으나 1000여 명 이상이 체포되고 500여 명 이상이 처형됐다는 설이 일반적이다. 이 광란의 숙청작업은 마오쩌둥이 대장정을 끝내고 만주의 접경지역인 옌안(延安)에 정착한 후에 당 중앙의 지시로 비로소 중지되었다.  
 
민생단 사건이 일어나기 직전 김일성도 1국 1당의 원칙에 따라 중국공산당에 가입했다. 민생단 사건이 한창일 때 그는 간도 지역 두 개의 현과 한 개의 시를 포괄하는 왕칭(汪淸) 유격대의 정치위원이었다. 그의 휘하에 있던 대원 40여 명도 처형당했고, 처형을 앞둔 16명은 도망쳤다. 이때부터 김일성은 중국공산당을 신뢰하지 않았다. 언제 태도가 돌변하여 이와 같은 사건이 다시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일 것이다.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했다. 미군이 압록강에 다다르자 중국의 인민지원군이 남하했다. 코민테른의 지시를 받는 중국공산당의 입장에서는 소련의 원조를 기대하기도 했고, 일본이 만주에 남기고 간 산업시설을 보호하기 위해서 참전할 수밖에 없었다. 3년간의 전쟁은 당초 김일성이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상호간에 엄청난 피해만 남기고 원점으로 되돌아갔다. 구 소련의 문건에 따르면 중국인민지원군 사령부는 평양에서 불과 10km 떨어진 곳에 주둔했지만 북한군 사령부와 연합작전을 위해 회합을 갖는 일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중국은 전쟁 중인 1952년 주 북한 중국대사를 소환한 후 1955년 1월까지 파견하지 않았다. 이렇듯 전쟁 중에도 북중관계는 좋았다고 말할 수 없다. 
 
1953년 3월 1일 6.25 전쟁의 총지휘자인 스탈린이 사망한 후 소련의 중재로 한반도에서 정전협정이 체결됐다. 18만여 명의 인민지원군이 사망한 전쟁에서 중국은 얻은 것이 별로 없었다. 또 북한은 중국의 참전에 대해 그리 고마워하지 않은 듯 했다. 중국의 자료에 따르면 전쟁 후에 평양에 들어선 전쟁 기념관 12개의 전시실 중에 중국군에 관한 것은 한 곳뿐이었다.  
 
김일성은 전쟁의 실패와 경제적 어려움의 책임을 중국공산당 출신인 연안파에게 묻기 시작했다. 특히 스탈린 사망 후에 소련에서 정권을 잡은 흐루시초프가 스탈린 격하운동을 벌이자 비슷한 비판을 받을 것을 우려한 김일성은 연안파와 소련파 등 해외 공산당 출신들을 종파주의 반당분자로 몰기 시작했다. 실재로 헝가리에서는 스탈린 격하운동에 영향 받아 민중봉기가 일어났다. 숙청의 위기를 느낀 연안파 출신 당 고위간부들이 중국으로 몰래 도망가는 일이 벌어졌다. 이에 김일성은 이들의 노동당 당적과 모든 직위를 박탈했다. 1956년에 일어난 이 사건을 '8월 사건'이라 부른다. 8월사건 이후 마오쩌둥은 김일성을 독일의 나치 같다고 비난하고, 약속한 원조도 중단하거나 미루었다.  
 
이 무렵 중소관계가 틀어지고 있었다. 중국은 아시아 지역에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1955년부터 제3세계 외교에 열을 올리기 시작했다. 흐루시초프는 평화공존론을 선언하며 미국과 화해를 시도하고, 1958년부터 시작하는 중국의 제2차 5개년 계획에 대한 원조를 중단했다. 중국은 자력갱생을 위해 대약진 운동에 돌입해야 했다. 그 와중에도 북한이 필요로 하는 물자를 거의 원하는 만큼 지원했고, 그때까지 북한에 남아있던 중국군을 완전 철수시키면서 설비와 시설은 무상으로 북한에 넘겨줬다. 북한이 원하는 것은 모두 들어줬다. 이때 김일성은 반대파를 마오쩌둥의 묵인 하에 완전히 숙청했다.  
 
중소분쟁의 시기에 김일성은 중국과 소련 사이에서 좋은 말로 하면 견제와 균형, 나쁜 말로 하면 양다리외교를 통해 양국으로부터 막대한 원조와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 흐루시초프는 8월사건 때 중국이 소련을 끌어들여 북한에 간섭하려 했다는 사실을 고자질하면서 6.25 때 북한이 소련에 빚진 차입금과 전쟁비용을 모두 탕감해주었다. 중국은 여기에 뒤질세라 4.2억 루블 차관을 제공하고 고무타이어 공장, 무선통신장비 공자, 생필품 공장 건설 지원을 약속했다.  
 
중국은 빚을 지면서까지 북한을 원조했고 나아가 대약진운동 시대에 자국민이 굶어죽는 상황에서도 북한에 23만 톤의 식량을 지원했다. 그러자 소련은 북한에 야금공장을 확장해주고, 화력발전소와 정유공장을 지어주고 원유까지 공급했다. 한 통계에 따르면 70년대까지 사회주의 국가가 북한에 제공한 원조 금액은 20.43억 달러인데 그중 소련이 43.14%, 중국이 30.75%에 달했다.  
 
북한은 1961년에 중국과 소련 두 나라와 거의 동시에 군사동맹을 포함한 우호조약을 체결했다. 이 당시 한국에 군사정권이 들어서면서 한일 간 국교정상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미국이 동아시아를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보이자 위기의식을 느낀 세 나라가 서둘러 동맹관계를 맺은 것이다. 그러나 북한은 흐루시초프의 평화공존정책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수십만 명의 군인과 민간인을 포함하면 수백만의 인명을 희생한 전쟁 당사자로서 북한은 미국과 평화공존하자는 주장을 받아들일 수는 없었을 것이다. 공개적으로 중국의 편에 섰다. 
 
소련은 62년부터 북한에 대한 원조를 연기하더니 급기야 64년에는 군사원조를 정식으로 중단했다가 브레즈네프가 정권을 잡으면서 다시 북한에 유화정책을 펴기 시작했다. 북한도 다시 더 많은 원조를 받기 위해 중국과 멀어지고 소련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66년에 중국에서 문화대혁명이 발발했을 때 홍위병들은 김일성을 배신자이며 수정주의자라 비난하며 조선족 자치주의 동포들을 박해했다. 이 소식을 들은 김일성은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묘역을 때려 부수게 했다. 심지어 6.25 때 사망한 마오쩌둥의 장남 마오안잉(毛岸英)의 묘비도 박살냈다고 전해진다. 1970년 저우언라이(周恩來)가 평양을 방문하여 김일성에게 문화혁명 당시에 벌어졌던 일들에 대해서 해명하고 나서야 쌍방관계는 개선되었다. 
 
이후 중국은 개혁개방을 추진하고, 소련은 페레스트로이카를 추진하면서 경제발전과 체제개혁의 변화를 추진했지만 북한은 여전히 두 나라 사이에서 이익을 저울질하며 체제유지에 온 힘을 쏟았다. 러시아는 1990년 9월 30일에 한국과 수교하고, 1996년에는 북한과 소련이 맺었던 우호조약이 폐기됐다. 북한과 러시아는 단순한 교역상대국이 된 것이다. 
 
중국은 1992년 8월 2일에 한국과 수교했다. 수교 직전에 중국의 외교부장 첸치천(錢其琛)이 북한의 이해를 구하기 위해 평양을 방문했었다. 여느 때 같으면 수십만의 군중을 동원해서 환영했을 텐데 공항에는 북한 외교부장 김영남(金永南)만 영접을 나와 곧바로 헬기를 타고 김일성이 있는 별장으로 이동했다. 김일성은 첸치천의 설명을 듣고 중국이 독립적이고 자주적으로 결정한 정책이니 이해한다고만 하고 자리를 떴다. 첸치천은 자신의 기억 속에 가장 짧은 회담이었다고 술회했다. 회견 후에는 관례에 따른 만찬도 없었다. 그리고 북한의 핵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북한은 중국과 소련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았고, 그것을 적절히 활용하여 이익을 얻었다. 북한은 그들의 원조를 구걸한 것이 아니다. 상황에 맞는 적절한 외교적 전략과 전술을 활용하여 원하는 것을 얻은 것이다. 적어도 북한은 그렇게 생각할 것이다. 김일성은 중국과 소련 사이에서 탁월한 외교적 능력을 발휘했다. 그러나 중국이 개혁개방을 하고, 소련은 해체되어 러시아가 된 후 북한은 자신의 외교적 재능을 발휘할 공간을 잃었다. 게다가 김일성이 1994년에 사망하고 나서는 김정일에서 김정은으로 권력을 세습하면서 오로지 핵무장을 향해 달려왔다. 그리고 드디어 핵무장의 완성을 선언했다. 여전히 북한이 완벽한 핵능력을 갖췄는지 의심이 가기는 하지만 그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북한 스스로가 완성했다고 공표한 것이 중요하다. 핵 프로그램 말고 다른 것을 하겠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이제 북한이 가장 잘했던 것을 다시 한 번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됐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뭔가를 할 수 있는 여지가 마련된 것이다. 핵을 개발할 수밖에 없는 절체절명의 상황이 아니라 활로를 모색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이다. 김일성이 없어서 혹은 김정일이 없어서 그때처럼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북한에는 김영남이 있다. 그가 비록 실권 없는 국가수반이긴 하지만 김정은에게는 일종의 상선영감 같은 존재이다. 김영남은 중국과 소련 사이에서 김일성이 탁월한 외교를 펼치던 1956년에 조선노동당 중앙국제부 과장에 임명됐고, 61년에는 부부장이 됐다. 그 이후로 김영남은 줄곧 외교분야에서 일해 왔다. 그는 김일성이 중국과 소련 사이에서 어떻게 했는지 명확하게 기억하고 있다. 그때 북한은 일방적으로 중국의 편에 서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이 급작스럽게 이루어졌다. 국민들은 물론 주변국들과 세계가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며 환영했다. 우리와 미국 그리고 북한이 원하는 것은 명백하다. 우리와 미국은 한반도에서 비핵화를 이루고자 하고, 북한은 체제보장을 원한다. 더 나아가 한반도의 평화와 공동번영을 이루고자 한다. 지금까지는 마치 상대방을 향해 서로 총구를 겨누고, 네가 먼저 총을 내려놓으면 나도 내려놓겠다는 식이었다. 뭘 믿고 먼저 총을 내려놓겠는가? 그러는 사이에 불신의 골은 깊어만 갔었다. 이제 당사국 정상들끼리 만나 신뢰를 회복하는 대화를 하려고 한다. 신뢰회복은 단순히 말로 하는 약속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고,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  
 
북중 우호조약은 2021년이 만기이다. 6개월 전에 일방이 폐기를 통보하면 효력이 정지된다. 북한이 우선 북중우호조약의 폐기를 공표하고, 미국과 단계적인 핵폐기에 합의하면 체제를 보장받을 수 있다. 또한 개성공단을 황해도 해주까지 확대하여 재개하고, 공단에 미국기업을 유치하면 경제지원의 교두보를 마련할 수도 있다. 당연히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고, 미국은 북한에 진출한 미국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대만관계법과 유사한 개성관계법을 제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남북관계는 고려해야할 것이 많아지기는 하지만 불가능했던 협상의 대상이 가능한 대상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남북관계가 호전되기를 원하는 개인적인 바람이지만 남북관계는 북미관계의 영향을 받으며 북미관계는 미중관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있다는 현실을 고려하면 전혀 실현 불가능한 억측은 아니다. 현재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경제문제에 있어서 가장 신경을 쓰는 것이 중국이기 때문에 그렇다.
 
기사를 끝까지 읽으셨다면…

인터넷 뉴스를 소비하는 많은 이용자들 상당수가 뉴스를 생산한 매체 브랜드를 인지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온라인 뉴스 유통 방식의 탓도 있겠지만, 대동소이한 뉴스를 남발하는 매체도 책임이 있을 것입니다. 
관점이 있는 뉴스 프레시안은 독립·대안언론의 저널리즘을 추구합니다. 이러한 저널리즘에 부합하는 기사에 한해 제안 드립니다. 이 기사에 자발적 구독료를 내주신다면, 프레시안의 언론 노동자, 콘텐츠에 기여하는 각계 전문가의 노고에 정당한 보상이 돌아갈 수 있도록 쓰겠습니다. 프레시안이 한국 사회에 필요한 언론이라고 생각하신다면,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3,000₩5,000₩10,000₩30,000₩50,000
 
+1,000원 추가+10,000원 추가
 원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다른 글 보기
▶ 필자 소개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강사로 학생들을 가르치며 중국 문화에 대한 글을 쓰고 있다. 대륙연구소, 북방권교류협의회, 한림대학교 학술원 등에서 연구원을 역임했다. 중국의 관료 체제에 관한 연구로 국립대만사범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중국의 정치 문화에 대한 연구로 건국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 권으로 읽는 유교> 등의 번역서와 <중국 인민의 근대성 비판> 등 다수의 연구 논문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케이, 오늘부터 (2014년 12월 1일) 달라지는 이 누리. 김원일 2014.12.01 8508
공지 게시물 올리실 때 유의사항 admin 2013.04.07 38554
공지 스팸 글과 스팸 회원 등록 차단 admin 2013.04.07 54321
공지 필명에 관한 안내 admin 2010.12.05 86179
1369 자살의 정당화 file 김균 2018.08.07 325
1368 기독교에서 진보와 보수의 결정적 구분은 '성서해석' 김균 2018.08.04 233
1367 마인드 바이러스 file 김균 2018.07.31 197
1366 마누라는 컴맹입니다 file 김균 2018.07.30 283
1365 상식 하나=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4 file 김균 2018.07.30 541
1364 히브리 사상 4 file 김균 2018.07.29 350
1363 Oksana Shachko (1987.1.31 ~ 2018.7.23) 무실 2018.07.27 123
1362 바리톤 - 윤 사무엘 무실 2018.07.27 145
1361 2018년 7월 7일(토) 제3기 사도행전(The Book of Acts). 제1과 너희가 내 증인이 되리라(You Will Be My Witnesses) (7.01일-7.06금) [아래아한글][MS 워드] file 새벽공기 2018.07.14 298
1360 2018년 7월 14일(토) 제3기 사도행전(The Book of Acts). 제2과 오순절(Pentecost) (7.08일-7.13금) [아래아한글] [MS워드] file 새벽공기 2018.07.14 170
1359 단상 김균 2018.07.12 266
1358 사람이 변할수 있을까? 5 Rilke 2018.07.11 414
1357 내 아들이 게이라니... 김원일 2018.07.04 383
1356 [삼육대학교] 스미스교양대학 ACE+ 성과확산 국제포럼(2018.07.04수)과 한국문학과종교학회 국제학술대회(07.04수-05목) [아래아한글] [MS워드] file 새벽공기 2018.07.03 135
1355 구천 김균 2018.07.02 261
1354 성소수자에게 직접 듣는다: 초청합니다. 7월 8일. 김원일 2018.06.29 207
1353 부고: 고 조도영 집사님 주안에서 잠드셨습니다 2 1.5세 2018.06.21 402
1352 찌 이야기 2 file 김균 2018.06.13 490
1351 내가 중재자가 되기는 애시 당초 글렀다 1 file 김균 2018.06.13 405
1350 자녀들이 절대로 들어서는 안될 말들! 버디 2018.05.30 180
1349 죽은 시인의 시가 산 사람의 삶을 바꾸어 놓다. 무실 2018.05.22 188
1348 미투가 잡는 생사람, 그리고 또 다른 생사람. 김원일 2018.04.21 324
1347 2018년 4월 21일(토) 제2기 제3과 예수님과 계시록(Jesus and the Book of Revelation) (4.15일-4.20금) [아래아한글] [MS 워드] file 녹색세상 2018.04.17 175
1346 특별한 미투-이런 것도 미투에 들어간다니 ... 1 김균 2018.04.17 298
1345 이 글 읽은 김에 일회용 컵 많이 사용해도 되겠다 김균 2018.04.17 231
1344 2018년 4월 14일(토) 제1기 제2과 다니엘과 마지막 때(Daniel and the End Time)(4.08일-4.13금) [아래아한글] [MS 워드] file 녹색세상 2018.04.14 146
1343 2018년 4월 7일(토) 제1기 제1과 마지막 때를 위한 준비(Preparation for the End Time)(4.01일-4.06금) [아래아한글] [MS 워드] file 녹색세상 2018.04.14 120
1342 우리를 대신하여 - 우리 민족의 이름으로 3 녹색세상 2018.04.14 161
1341 10만 명 돌파한 백악관 청원 서명, 응답하라 트럼프! -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촉구, 25일 만에 10만 서명 넘어 녹색세상 2018.04.09 145
1340 한 나라로 함께 사는 세상 <연재> 오인동의 ‘밖에서 그려보는 통일조국’ (1) file 녹색세상 2018.04.01 229
1339 남북, 오는 4월 27일 정상회담 개최 합의 - 장소는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 집…의제 추후 협의 녹색세상 2018.03.29 129
» 북한은 미국과 중국이 원하는 걸 안다 [ 최성흠의 문화로 읽는 중국 정치 ] 북미관계 변화는 북중관계의 변화 녹색세상 2018.03.29 150
1337 2018년 3월 31일(토) 제1기 제13과 청지기 직분의 결실(The Results of Stewardship)(3.25일-3.30금) 장년교과 기억절(아래아한글, MS Word) file 녹색세상 2018.03.28 454
1336 (사)평화교류협의회[CPC]. <그리스도의 생명과 평화> 시각의 장년 안교교과 해설 (첨부파일) file 녹색세상 2018.03.19 217
1335 미투(Me Too) 참여 2편 우린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8 버디 2018.03.16 355
1334 미투(Me Too) 1편 당하는 자의 고통 - 별것 아닌가? 버디 2018.03.16 166
1333 단일민족의 자부심과 배달민족 DNA의 우수성을 과시하고 싶은 그대들에게 보내는 National Geographic 잡지의 편지 김원일 2018.03.14 284
1332 미투가머길레! fmla 2018.03.12 199
1331 여성의 날 원조 김원일 2018.03.09 192
1330 특사단 만난 김정은 첫마디 "남측 어려움 이해한다" - 청와대가 밝힌 대북 특사단 1박 2일 이모저모 녹색세상 2018.03.08 400
1329 청산이 소리쳐 부르거든 김균 2018.03.08 222
1328 최재영목사의 김일성과 안식교 1 지경야인 2018.02.26 960
1327 동고동락 2 file 김균 2018.02.26 318
1326 제발 ! 먹지 마시오 소나무 2018.02.26 253
1325 내 삶의 현장에서의 신앙 소나무 2018.02.25 193
1324 그사람 6 file fmla 2018.02.23 360
1323 50%의 구원과 99%의 구원 8 file 김균 2018.02.19 444
1322 평창 올림픽 NBC 망언 이후 우연히 눈에 띄는 글 소나무 2018.02.11 365
1321 재림마을 어플과 새 찬미가 3 file 김균 2018.02.11 970
1320 제목도 없는 글 3 소나무 2018.02.11 265
1319 조용한 이동네에 첫눈이 온다구요 3 jacklee 2018.02.09 284
1318 “큰 동풍으로“ 부는 바람 4 file 김균 2018.02.06 466
1317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 김균 2018.01.25 601
1316 나 혼자 서 있는 게 아니구먼 1 김균 2018.01.22 352
1315 민초를 다시 생각한다 2 김주영 2018.01.20 551
1314 욕심을 버리고 마음을 지키기 1 무실 2018.01.20 179
1313 신과 함께-죄와 벌- 2 file 김균 2018.01.14 406
1312 잡초와 화초 소나무 2018.01.14 368
1311 유다는 용서받을 수 있는가? 1 소나무 2018.01.14 380
1310 예수께서 죄지을 가능성 과 불가능성 소나무 2018.01.14 200
1309 유투브 퍼오기 1 김균 2018.01.10 272
1308 내게 이런 질문을 한다면 ? 2 소나무 2018.01.08 261
1307 만화 속에서 살았던 나날들 3 file 김균 2018.01.07 398
1306 나만의 축복에 만족하는 사람들 file 김균 2018.01.01 290
1305 모두들 건강한 새해 되세요 file 김균 2018.01.01 157
1304 쓸데없는 잡념들 7 김균 2017.12.29 440
1303 메리 크리스마스 2 1.5세 2017.12.23 287
1302 왜 꼭 그렇게 끝냈어야 했나? 2 김주영 2017.12.21 481
1301 참새 방아간 5 소나무 2017.12.19 329
1300 밤새 안녕들 하십니까? 7 김주영 2017.12.17 512
1299 우리는 왜 구약을 읽는가 김원일 2017.12.16 235
1298 안식교인들 구약 잘 안다며? 이런 주제로 설교하는 안식교 목사 있는가? 그의 발에 입맞추리... 김원일 2017.12.16 425
1297 육신의 일과 영의 일 그리고 비트코인 ( 조회수 49후 수정) 5 무실 2017.12.02 385
1296 지팡이가 되어 소나무 2017.11.27 224
1295 모든것 감사해 file fmla 2017.11.24 21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

Copyright @ 2010 - 2024 Minchoquest.org. All rights reserved

Minchoquest.org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